평수 계산법 간단 정리
평수 계산법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. 평이라는 단위는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‘계량에 관한 법률’에 따라 더 이상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. 아파트 면적은 실제로 미터법에 따라 제곱미터(㎡)로 표시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.
2008년 이후 평수라는 단위가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, 이 용어가 일본 식민지 시대에 쓰이던 잔재이기 때문입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익숙함과 편리함 때문에 주택을 구매할 때 여전히 '평' 단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평수 계산법이 필요한 경우가 생겼는데요, 이제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.
평(坪)이란?
간단히 설명하면, 1평은 3.3058㎡에 해당합니다. 따라서 제곱미터(㎡)를 평(坪)으로 바꾸려면 제곱미터 수치를 3.3058로 나누면 됩니다.
※ 예를 들어, 84㎡를 평으로 바꾸고 싶다면 84 ÷ 3.3058 ≒ 25(평)
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할 때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. 이 점 참고해주세요.
평수 계산법
평수 계산법 ① 평수 계산기 사용
평수 입력란에 제곱미터 값을 입력하면, 자동으로 평수가 계산됩니다.
반대로 평수를 제곱미터로 바꾸고 싶다면, 평을 제곱미터로 변환할 수 있는 계산기를 이용해 '평(坪) → 제곱미터(㎡) 변환기'를 선택하면 됩니다.
평수 계산법 ② 평수 계산법 공식 이용하기
예를 들어 아파트 면적이 122㎡라면, 1평이 3.3058㎡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.
※ 122 ÷ 3.3058 ≒ 36평
간단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제곱미터(㎡) 표시의 끝자리 숫자를 제거하고 3을 곱하면 됩니다. 즉, 122㎡의 경우 끝자리 2를 제외하고 12에 3을 곱하면 36평이 나오는 방식입니다.
※ 191㎡: 19 × 3 = 57평
※ 2700㎡: 270 × 3 = 810평
단, 178㎡처럼 끝자리가 5 이상인 경우에는 반올림 후 계산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. 예를 들어, 178의 끝자리 8을 반올림해 18 × 3 = 54평으로 계산합니다.
평수 계산법이 필요한 이유
실제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면 전용면적, 공급면적, 공용면적, 서비스면적, 계약면적 등 다양한 면적 기준이 제시되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 주택이나 아파트의 크기가 제곱미터(㎡)로 표시되지만, 여전히 평수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는 이러한 표기 방식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평수를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크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평수 환산표 몇 가지를 알아두면 훨씬 편리합니다.
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, 59㎡는 약 18평, 84㎡는 약 25.5평으로 환산됩니다. 제곱미터 기준으로 99㎡를 넘으면 보통 30평 이상 아파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평수 계산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. 아파트 크기는 일반적으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, 이는 실내 거주 공간 외에도 베란다와 발코니 등의 면적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실제로 생활하게 될 공간의 크기는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흔히 말하는 "실평수"는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하며, 평수를 계산할 때도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점을 참고하세요.